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RenderingMode
- ReactorKit
- xcode
- keychain
- 순환참조
- 회고록
- Clean Architecture
- 정규식
- breakpoint
- UIKit
- UIImage
- regex
- DI
- Protocol
- unowned
- Swift
- weak
- MVVM
- GOMS
- Async
- UISheetPresentationController
- pop
-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
- Sync
- ios
- 회고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DI (1)
minaje

개요 오늘은 DI - Dendency Injection! 단어만 들었을 때는 아주 무섭죠..! 하지만 객체지향을 한다면 자주 사용하고 꼭 알아야하는 녀석이죠. Dendency?? Dependency 즉! 의존성이란?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서로 다른 객체 사이에 의존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! 말이 어려우니까 풀어서 설명하자면 A 객체가 B 객체를 의존한다고 가정해보자! 이때 B 객체가 수정이 되면 A 객체까지 영향을 받는 것이다! 이것이 의존성이다. 자 코드로 살펴보자 import UIKit struct Study { func swift() { print("스위프트") } func kotlin() { print("코틀린") } } struct Minaje { var todayStudy: Study f..
iOS
2023. 10. 18. 10:00